1. 기존 설치된 패키지 제거
> OS에 포함되어 있거나 기존에 쓰던 서버를 활용하는 것이라면 버전 호환성을 위해 제거 후 다시 설치
001
| yum -y remove redis memcached |
>>>>>> description
– 설치여부 및 버전 확인 : yum list installed redis* memcached*
2. Redis
>>> 설치
001
| yum -y install --enablerepo=remi redis |
>>>>>> description
– remi repository를 사용
>>> 설정파일 수정
001
002
003
004
005
006
007
008
| ## 설정파일 수정vi /etc/redis.conf#### /etc/redis.confpidfile /var/run/redis/redis.piddir /var/lib/redis/port 6379logfile /var/log/redis/redis.log#bind 127.0.0.1 |
>>>>>> description
– pidfile : pid 파일 경로
– REDIS_CONFIG : 설정파일 경로
– dir : 데이터파일 경로
– logfile : 로그파일 경로
– vm-swap-file : 스왑파일 경로
– #bind 127.0.0.1 : 원격에서 접속하기 위해서 주석처리
– REDIS_CONFIG : 설정파일 경로
– dir : 데이터파일 경로
– logfile : 로그파일 경로
– vm-swap-file : 스왑파일 경로
– #bind 127.0.0.1 : 원격에서 접속하기 위해서 주석처리
>>> 자동실행 설정 및 서비스 시작
001
002
003
004
| ## 서비스 시작systemctl start redis.service## 시스템 시작시 redis 자동실행systemctl enable redis |
>>>>>> description
– 설정파일 : vi /etc/redis.conf
>>> 실서비스 구성환경과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추가 데몬구성
001
002
003
004
005
006
007
008
009
010
011
012
013
014
015
016
017
018
019
| ## 설정파일 복사cp /etc/redis.conf /etc/redis_{PROJECT_NAME}.conf## 실행파일 복사cp /usr/lib/systemd/system/redis.service /usr/lib/systemd/system/redis_{PROJECT_NAME}.service## 데이터 저장 폴더 생성cp /var/lib/redis /var/lib/redis_{PROJECT_NAME}chown -R redis:redis /var/lib/redis_{PROJECT_NAME}## 설정파일 수정vi /etc/redis_{PROJECT_NAME}.conf## 실행파일 수정vi /usr/lib/systemd/system/redis_{PROJECT_NAME}.service## 서버폴더 생성mkdir /var/lib/redis_{PROJECT_NAME}chown -R redis:redis /var/lib/redis_{PROJECT_NAME}/chgrp -R redis /var/lib/redis_{PROJECT_NAME}/## 서비스 시작systemctl start redis_{PROJECT_NAME}.service## 시스템 시작시 자동실행systemctl enable redis_{PROJECT_NAME} |
001
002
003
004
005
006
007
008
| ## /etc/redis_{PROJECT_NAME}.confpidfile /var/run/redis/redis_{PROJECT_NAME}.piddir /var/lib/redis_{PROJECT_NAME}/port 6380logfile /var/log/redis/redis_{PROJECT_NAME}.log## /usr/lib/systemd/system/redis_{PROJECT_NAME}.service## - redis => redis_{PROJECT_NAME}으로 수정ExecStart=/usr/bin/redis-server /etc/redis_{PROJECT_NAME}.conf --daemonize no |
>>>>>> description
– 설정파일 : vi /etc/redis_{PROJECT_NAME}.conf
3. Memcached
>>> 설치
001
| yum -y install --enablerepo=remi memcached |
>>>>>> description
– remi repository를 사용
>>> 설정파일 수정
001
| vi /etc/sysconfig/memcached |
001
002
003
004
005
| PORT="11211"USER="root"MAXCONN="1024"CACHESIZE="256"OPTIONS="" |
>>>>>> description
– PORT : 접속포트번호
– USER : 사용자
– MAXCONN : 최대 접속수
– CACHESIZE : 캐쉬사이즈
– OPTONS : 보안옵션으로 빈값이면 ANY ADDRESS로부터 접속허용 (EX. 특정아이피에서만 접속하고자하면 -l {IP ADDRESS)
– USER : 사용자
– MAXCONN : 최대 접속수
– CACHESIZE : 캐쉬사이즈
– OPTONS : 보안옵션으로 빈값이면 ANY ADDRESS로부터 접속허용 (EX. 특정아이피에서만 접속하고자하면 -l {IP ADDRESS)
>>> 자동실행 설정 및 서비스 시작
001
002
003
004
| ## 서비스 시작systemctl start memcached.service## memcached시스템 시작시 자동실행systemctl enable memcached |
>>>>>> description
– 설정파일 : vi /etc/sysconfig/memcached
>>> 실서비스 구성환경과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추가 데몬구성
001
002
003
004
005
006
007
008
009
010
011
012
| ## 설정파일 복사cp /etc/sysconfig/memcached /etc/sysconfig/memcached_{PROJECT_NAME}## 실행파일 복사cp /usr/lib/systemd/system/memcached.service /usr/lib/systemd/system/memcached_{PROJECT_NAME}.service## 설정파일 추가vi /etc/sysconfig/memcached_{PROJECT_NAME}## 실행파일 수정vi /usr/lib/systemd/system/memcached_{PROJECT_NAME}.service## 서비스 시작systemctl start memcached_{PROJECT_NAME}.service## memcached시스템 시작시 자동실행systemctl enable memcached_{PROJECT_NAME} |
001
002
003
004
005
006
007
008
009
| ## /etc/sysconfig/memcached_{PROJECT_NAME}PORT="11212"USER="root"MAXCONN="1024"CACHESIZE="256"OPTIONS=""## /usr/lib/systemd/system/memcached_{PROJECT_NAME}.service## 다음라인 수정 (memcached => memcached_{PROJECT_NAME})EnvironmentFile=-/etc/sysconfig/memcached_{PROJECT_NAME} |
>>>>>> description
– 설정파일 : vi /etc/sysconfig/memcached_{PROJECT_NAME}
[참고]
http://myblog.opendocs.co.kr/archives/115
댓글 없음:
댓글 쓰기